한국의 사찰-가람배치 ②금강문 사찰에 들어가면서 일주문 다음에 만나는 문(門)으로 인왕문이라고도 한다. 보통 금강문을 세우지 않은 사찰도 많다. 금강문이 있는 사찰은 금강문이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하지만, 금강문이 없는 사찰은 사천왕문이 대문 역할을 한다. 금강역사는 불법을 훼방하려는 세상의 사악한 무리를 경계하고, 사..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18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하다. 올바른 예절은 우리들 ..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10
사천왕문을 지날때 사천왕문을 지날 때 일주문을 지나면 사천왕문을 만난다. 이문에 들어서면 한 쪽에 두 분씩의 천왕을 모셨으니, 먼저 오른쪽에 모셔진 두 분의 천왕에게 합장 반배(혹,반배로 3번)하고, 다음에 반대쪽으로 향해서 합장 반배 한다, * 바른쪽으로 먼저 반배하는 것은 體의 뜻이기 때문이다. * 동쪽을 맡은 ..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10
사찰의 문 사찰의 삼문(三門) 1. 사찰의 문 보통 큰 사찰을 들어서다 보면 세 종류의 문을 지나게끔 되어 있다. 이것을 사찰의 삼문(三門)이라 하며 그 순서는 일반적으로 첫 관문이 일주문, 그 다음으로 금강역사가 버티고 있는 금강문(金剛門)이나 사천왕상이 있는 천왕문(天王門), 그리고 마지막 관문은 불이문(..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10
맞배지붕 과 팔작지붕 전통 한옥의 지붕모양에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세가지의 기본형이 있다. 맞배지붕은 지붕의 앞면과 뒷면을 사람인(人)자 모양으로 배를 맞댄 모양이고, 우진각 지붕은 맞배지붕의 양측면을 다시 삼각형 모양으로 끌어내려 추녀가 4면에 고르게 만들어져 흔히 우리가 함석지붕에서 보는 ..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9
주심포식 구조 주심포식 구조 기둥의 위에만 공포가 짜이는 것으로서 위쪽의 무게가 공포와 기둥을 통하여 지면으로 전달되는 구조체계를 가진다. 기둥 사이에는 창방이라는 횡부재가 기둥머리를 파고 놓여지며 창방의 중앙에는 화반이나 포벽이 구성된다. 주심포 양식은 고려초기에 신라와 송의 건축양식을 바탕..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9
다포식 구조 다포식 구조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놓아 입면상 하나의 공포대를 횡으로 구성하여 매우 화려한 모습을 가지는 형식이다. 위쪽의 무게가 기둥 뿐만 아니라 벽을 통하여도 전달되므로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횡부재인 창방만으로는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워 창방 위에 평방이라는 횡부재를..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9
[스크랩] 선암사/ 정호승 선암사/ 정호승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고 선암사로 가라 선암사 해우소로 가서 실컷 울어라 해우소에 쭈그리고 앉아 울고 있으면 죽은 소나무 뿌리가 기어다니고 목어가 푸른 하늘을 날아다닌다 풀잎들이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아주고 새들이 가슴 속으로 날아와 종소리를 울린다 눈물이 나면 걸어.. 사찰여행/선암사 2009.12.08
[스크랩] 선암사 / 정호승 선암사 / 정호승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고 선암사로 가라 선암사 해우소로 가서 실컷 울어라 해우소에 쭈구리고 앉아 울고 있으면 죽은 소나무 뿌리가 기어다니고 목어가 푸른 하늘을 날아다닌다 풀잎들이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아주고 새들이 가슴 속으로 날아와 종소리를 울린다 눈물이 나면 걸.. 사찰여행/선암사 2009.12.08
선암사 펌글 남도여행을 하면 꼭 들려볼 곳이 순천입니다. 그리고 순천에 도착하시면 꼭 시티투어버스를 타 볼것을 권해드립니다. 순천의 주요 관광지이인 낙안읍성과 드라마세트장 그리고 선암사와 송광사를 입장료없이 8천원에 돌아 볼 수 있습니다. 단 선암사와 송광사는 같은날 갈수 없고 두 사찰중 한곳만 가.. 사찰여행/선암사 2009.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