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한옥의 지붕모양에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세가지의 기본형이 있다.
맞배지붕은 지붕의 앞면과 뒷면을 사람인(人)자 모양으로 배를 맞댄 모양이고, 우진각 지붕은 맞배지붕의 양측면을 다시 삼각형 모양으로 끌어내려 추녀가 4면에 고르게 만들어져 흔히 우리가 함석지붕에서 보는 바의 형식이다.
이에 반해 팔작지붕은 우진각지붕의 세모꼴 측면에 다시 여덟 팔(八)자의 모양을 덧붙여 마치 부채살이 퍼지는 듯한 형상이 되었다고 해서 합각지붕이라고도 한다.
삼국시대 이래로 우리 목조건축의 대종은 맞배지붕이다. 여기에 새로운 형식인 팔작지붕이 중국에서 건너온 것은 고려중기로 생각되는데 부석사 무량수전이 가장 오랜 유물이다.
맞배지붕의 특징은 엄숙하고 경건한 기풍이 흐르고 있으며, 팔작지붕은 화려한 멋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