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배지붕 과 팔작지붕 전통 한옥의 지붕모양에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세가지의 기본형이 있다. 맞배지붕은 지붕의 앞면과 뒷면을 사람인(人)자 모양으로 배를 맞댄 모양이고, 우진각 지붕은 맞배지붕의 양측면을 다시 삼각형 모양으로 끌어내려 추녀가 4면에 고르게 만들어져 흔히 우리가 함석지붕에서 보는 ..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9
주심포식 구조 주심포식 구조 기둥의 위에만 공포가 짜이는 것으로서 위쪽의 무게가 공포와 기둥을 통하여 지면으로 전달되는 구조체계를 가진다. 기둥 사이에는 창방이라는 횡부재가 기둥머리를 파고 놓여지며 창방의 중앙에는 화반이나 포벽이 구성된다. 주심포 양식은 고려초기에 신라와 송의 건축양식을 바탕..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9
다포식 구조 다포식 구조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놓아 입면상 하나의 공포대를 횡으로 구성하여 매우 화려한 모습을 가지는 형식이다. 위쪽의 무게가 기둥 뿐만 아니라 벽을 통하여도 전달되므로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횡부재인 창방만으로는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워 창방 위에 평방이라는 횡부재를..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9
재미있는 사찰여행(4) 펌글,용문사 ● 전과 각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여기보시면, 대웅전, 지장전 등이 있고, 저기 보시면 삼성각, 범종각이라고 쓴 현판이 보이시죠? 어떤 건물은 전이라 하고, 어떤 건물은 각이라고 붙였는데요. 부처님과 보살님을 모신 곳에는 전이란 이름을 붙이고, 불상 이외에 신앙의 대상을 모신 곳을 각이라고 ..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
사찰의 구조(2) 일주문 일주문(一柱門)이란 사찰에 들어가는 산문(山門)중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문입니다. 일주문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네 곳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덮는 일반적인 가옥 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에 세운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은 독특한 형식의 건축..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
올바른 사찰답사를 위하여 <7> 불교가 탄생하기 이전 - 우파니샤드 시대 사상과 종교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우파니샤드는 앞의 베다와 전혀 다른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우파니샤드는 실재(實在)의 본질을 파악하려는 인간 정신의 끊임없는 노력이자 사색의 산물로 인도 주요사상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
올바른 사찰답사를 위하여 <6> 불교가 탄생하기 이전...베다시대 절을 답사하고 절을 제대로 본다는 말은 절 안에 담겨 있는 다양한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절은 2500년이 훨씬 지난 아주 오래 전 인도에서 태어나 깨달음을 얻고 부처라 불리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따라 생활하는 수행자들의 공간입니다. 절의 의미를 이해하..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
올바른 사찰답사를 위하여 <5> 답사 공부, 의심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봐라 답사 공부는 어떻게 할까?(2) 5) 의심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다양한 사물과 주제에 대한 풍부한 지식은 그냥 얻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공부하고 바라보고 또 의심을 하는 가운데 새로이 공부해야 할 내용이 생깁니다. 의심이 없으면 참된 공부도 없다고 단..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
올바른 사찰답사를 위하여 <4> 답사공부는 어떻게 할까? 1) 일이관지(一以貫之)를 목표로 하나의 지식이 한 가지에만 적용되면 발전이 없습니다. 하나의 지식이 다른 지식과 관련을 맺고 새로운 지식으로 발전해 나가야 합니다. 공부를 하면서 얻었던 지식들이 처음에는 따로따로 내 머리 속에 들어 있다가 어느 순간 그 동안 쌓였던..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
올바른 사찰답사를 위하여 <3> 절에서 지켜야 할 예절 지식이란 개념을 살펴보니 자기 자신과 타인과 사물(대상)이 서로 맞아떨어져야 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 원칙은 지식뿐만 아니라 우리들이 살아가는 세상살이 모든 곳에 적용되는 것이랍니다. 절이란 공간을 답사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를 알아보았으니 이제는 절의 .. 사찰여행/재미있는 사찰여행 200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