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의 구조
사찰의 구조
*절이란 무엇인가
흔히 부처님을 모시고 부처님 가르침을 닦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성스러운 곳, 즉 佛(불), 法(법), 僧(승) 三寶(삼보)가 모두 갖춰져 있는 곳을 절(寺)이라 부른다. 또한 沙彌律儀(사미율의)라는 책에 의하면 절이란 "출가제자가 불법을 섬겨 받들어 가르침에 의거해 수행하는 곳" 이라 하고있다.
*사찰
사찰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를 소리나는 대로 옮겨 이를 중국인들은 소리나는 대로 옮겨 승가람마라 하였고 줄여서 가람이라 하였다.
무리, 모임, 정원 또는 담장을 두른 집이라는 뜻으로 중원·승단·승원이라 하였고 중국에서는 사(寺)·사찰(寺刹)·사원(寺院)이라 하였다.
수행자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불교 최초의 사찰은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붓다에게 지어 바친 죽림정사이고 최대의 사찰은 코샬라국의 수닷타가 지어 바친 기원정사이다.
사찰의 구조물들에는 각각 나름의 의미가 있습니다.
일주문에서 시작하는 사찰의 경계를 통해 우리가 세속의 때를 벗고 부처의 길로 한 걸음씩 나아갈 수 있게 점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배열되어 있습니다.
사찰의 중심을 이루는 것은 승원(僧院)과 당(堂)입니다.
당은 일반적으로 사원의 중심이 되는 불당(佛堂)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는 ‘금당(金堂)’ 또는 ‘법당(法堂)’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본래 당이라는 것은 불상을 봉안한 불당이나 법당 뿐만 아니라 경전을 보관하는 장경각(藏經閣)과 강당(講堂) 등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불당은 불상을 봉안하고 불교의 각종 행사를 봉행하는 장소이기도 하며, 강당은 경과 율을 강설하고 연구하는 장소입니다.
우리 나라의 전통적 사찰구조는 탑을 중심으로 건축물이 배치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건축물들의 이름은 그곳에 모셔진 부처님에 따라 다르게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전통의 사찰 구조는 탑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주요 건축물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그 각 전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전(殿)의 이름이 달라지는 것입니다.